여행 - 우리나라

양양 - 오산리 선사유적박물관

yolo28 2013. 2. 22. 11:50

2013.02.18

       양양 오산리 선사유적박물관

 

<오산리 유적>

오산리 유적은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오산리의 모래 언덕에 위치한 유적으로, 3개의 신석기문화층과 1개의 청동기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연대 측정 결과 약 8,000년 전 유적으로 추측되며,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대표하는 유적이다.

 

 

 

 

                                                                          입장료

 

 

 

 

 

 

 

 

 

      <신석기시대의 생활 모습>

     움집 주변에서 석기를 제작하고 야외 노지에서 사냥한 멧돼지와 어패류로 음식을 준비하며 가죽을 손질하는 신석기 시대의 일반적 생활 모습이다.

     오산리 선사인은 채집을 통해 각종 나무 열매와 뿌리 등에서 식물성 식량을 얻었고 사냥을 통해 사슴과 멧돼지, 토끼 등과 같은 동물성 식량을 얻었다.

 

 

         가죽 손질을 하는 신석기인

 

 

 

        <쌍호에서 어로생활>

       오산리 신석기인들은 쌍호에서 어망추, 작살, 그물 등을 주요 어구로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고 식량을 얻었다. 쌍호에서는 그물에   어망추를 매달아 그물이 가라앉도록 하여 사용했으며 돌이나 짐승의 뼈를 깎아 만든 촉을 붙인 작살도 신석기시대의 보편적 어구 중 하나이다.

 

 

     

       <바닷가에서 어로 생활>

      오산리 유적지에서는 서해안 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어망추와 함께 결합식 어구 형태가 같이 출토되었다.

 

 

        결합식 어구와 어망추

 

 

 

      <수렵 생활>

      신석기 시대에는 먼 거리에서도 사냥이 가능한 활과 화살을 이용함.

     우리나라에서는 사슴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는데 고기뿐 아니라 가죽과 뼈, 뿔 등이 각종 생활도구를 만드는데 이용되었다.

 

 

 

 

        <채집 농경 생활>

        오산리 선사인들이 가장 손쉽게 얻을 수 있었던 것은 도토리였다.

        도토리 화석은 양양 오산리 및 한반도의 여러 곳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일대에서도 다량 발견되었음을 볼 때, 도토리는 신석기 시 대에 중요한 식물자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토제 인면상>

     오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흙으로 빚은 얼굴상은 가로 4.3Cm, 세로 5.0Cm 가량의 작고 둥근 점토판을 손가락으로 눌러 사람 얼굴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 풍요를 기원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기 신상(神像)의 하나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오산리 신석기 시대의 토기>

 

 

 

                                                                                                 붉은 간토기              (강릉 초당동 )

                                                                                                                     고운 바탕 흙을 사용하여 만든 후 표면에 산화철을 발라 구워

          두 귀 달린 항아리(오산리)                                                         붉은 광택이 나는 토기                         

 

 

 

       <흑요석>

       화산암의 일종인 흑요석은 용암의 분출에 의해 생성된다. 가공이 자유로우며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날을 만들 수 있어, 구석기인과 신석기인들은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교역을 통해 구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흑요석은 백두산 주변 및 일본 큐슈지역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양 오산리에서 발견된 흑요석은 백두산 주변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뗀석기>

 

 

 

 

 

       <간석기>

 

 

 

 

 

 

        청동기 시대에는 토기 겉면에 무늬가 없는 민무늬 토기가 등장한다. 이 시대 토기들은 굵은 모래나 돌가루를 섞은 다소 거친  진흙으로 빚어 한뎃가마에서 구웠으며 납작하고 적갈색을 띤다.

       민무늬 토기에는 간단한 선무늬나 구멍무늬 등이 있는 경우도 있으며 토기 겉면을 잘 문질러 붉은 색이나 검은색을 낸 것도 있다. 

 

 

 

 

 

 

 

         <청동기 시대 - 잔무늬 거울 만들기>

 

                                              1. 거울 모형 무늬 새기기                         2. 밀납으로 거울 모형 만들기

 

 

                                            3. 모형에 고운 흙 씌우기                                                 4. 열을 가해 밀납 녹이기

 

 

                                                          5.거푸집에 쇳물 붓기                      6.거푸집에서 거울 꺼내기

 

 

                                                                 7.거울면 광 내기                          8. 완성된 거울

 

 

 

       <원삼국시대의 토기 >

 

       < 원삼국시대의 토기>

 

 

                        

                       박물관 로비에 선사유적박물관 방문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오산리 선사유적박물관 홈페이지 : http://www.osm.go.kr 

                                     주소     :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학포길 33  033)670-2442

 

 

 

양양- 낙산사 http://blog.daum.net/antique28/71

양양- 지중해풍 리조트 ‘쏠비치’ http://blog.daum.net/antique28/72

양양- 푸른 바다와 걸을 수 있는 해파랑길 41코스 http://blog.daum.net/antique2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