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 우리나라

부안에는 변산이 있고, 변산에는 보물창고 같은 반도(半島)가 있다.(3)

yolo28 2013. 3. 25. 07:24

 

2013.2.27-28(1박2일)

 

부안에는 변산이 있고, 변산에는 보물창고 같은 반도(半島)가 있다.(3)

 

 

 

  나이는 추억의 가짓수 쌓이듯 늘어간다고 했던가? 노인들이 입만 떼면 젊었을 적 이야기로 이어지는 게 그 까닭인가 보다. 내소사 가는 길……. 이 해변길을 따라 가다 보니 아이들이 어렸을 때, 가족들과 함께 놀러 와서 묵었던 펜션이 생각났다. 바다가 육지 쪽으로 쑥 들어와 아늑하게 만들어진 해수욕장에서 아이들이 놀기에 좋았는데…….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다. 지나가는 풍경은 아랑곳 않고 눈을 크게 뜨고 그 추억의 흔적을 찾았다. 여기던가, 아니 저기던가? 아, 찾았다! 맞아. 이름이 ‘모항레저!’ 모항해수욕장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잡은 펜션.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 보아도 괜찮은 위치이다. 주변의 대형 레저타운에 밀려있는 듯하지만, 바닷가 언덕 위에 세워진 숙소 앞으로는 여유롭게 테라스까지 드리워놓은 마음 푸근하게 만들어주는 분위기. 사실 그때도 지나가다 예쁘장하게 보이는 게 맘에 들어 택했잖아? 이제 딸아이는 시집을 갔고, 아들 녀석은 장가를 가야 할 정도로 쑤욱 커버렸지만, 그 당시에 전국을 흔들어 놓을 정도로 유행하던 ‘쿵따리 사바라’ 노래에 즐거워하며 까르륵 웃던 아이들 웃음소리가 바다 안개를 따라 귓전에 들리는 듯하다.

(모항레저 소재지 : 부안군 변산면 모항 204-12. http://www.mohang.net )

 

 

 

 

 

 

  바다를 따라 난 도로를 달리다 보니 특이하게 생긴 전통찻집이 눈에 들어왔다. 이름이 ‘둥지’. 한지공예 작품들과 생활도자기류를 전시해 놓고 팔기도 하면서 전통차를 파는 집이네. 쌍화차를 시켰다. 한참 만에 나온 쌍화차. 혹시 쌍화차를 마시고 배불러 본 적 있는가? 이 차는 그랬다. 생밤에 잣 무더기, 여러 견과류가 그득 들어있는 쌍화차. 이게 차야? 보약이야? 20대 꽃다운 대학 시절부터 쌍화차를 좋아해서 미아리 대지극장 앞에 있는 꽃다방, 별다방에서 남들 다 커피나 홍차 시킬 때 나는 달걀노른자에 잣, 대추, 땅콩 띄운 쌍화차를 시켜서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던 기억도 새롭다.

 

 

 

 

 

 

 

 

 

 

 

 

 

 

 

 

 

 

 

 

 

 

 

 

 

 

 

 

 

 

 

 

 

 

 

 

 

 

 

 

 

 

 

 

 

 

 

 

 

 

 

 

 

 

 

 

 

 

 

 

 

 

 

 

 

 

 

 

 

 

 

 

 

 

 

 

 

 

 

 

 

                                                                                                                                        내가 좋아하는 쌍화차

 

 

 

 

 

 

 

 

 

 

 

 

 

 

 

 

 

 

 

 

  드디어 능가산(楞伽山) 내소사(來蘇寺)에 도착.

내소사 앞에 서있는 수령 700년 된 느티나무.

사찰 안에 있는 수령 1000년된 느티타무를 할머니 당산이라 부르고

수령 700년 된 느티나무를 할마버지 당산이라고 한단다.

입암(내소사) 당산제는 사찰 주도하에 오래토록 전승되어 왔으며

불교신앙과 민간신앙의 결합에 의한 복합 신앙의 형태를 띠고 있다.

 

 

 

 

 

 

 

 

 

 

 

 

 

 

 

   내소사 현판은 현대 서예의 대가 일중 김충현의 휘호인데 ‘능’자가 생소하다. 관리소에 있는 직원에게 물었다.‘네모날 능’이란다. 김수희의 ‘애모’에 나오는 가사처럼 ‘그대(한자) 앞에만 서면 한없이 작아지는 이 몸.’ 얼른 지나가야지.

 

 

 

 

  한국의 100대 아름다운 길로 꼽힌 전나무 숲길. 멋지다. 위로 쭉쭉 뻗은 나무가 600m나 줄지어 서있는 사이를 걷는다. 한자 때문에 가라앉았던 기분이 다시 살아난다. 샛길 쪽으로 지장암 푯말이 있지만, 시간이 없으니 그쪽은 못 본 척 지나치고.

전나무 숲길이 끝나는 곳, 이번에는 벚나무 길이 나타난다. 4월경에 오면 정말 예쁘겠구나. 벚나무 길이 끝나는 곳에는 천왕문이 기다리고.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전나무 숲길 

 

 

 

 

 

 

 

 

 

 

 

 

 

 

 

 

 

 

전나무숲길이 끝나면 벚나무 길이 이어진다.

 

 

                                                                                                                     벚나무 길은 천왕문까지 이어진다

 

 

 

 

 

 

 

 

 

 

 

 

 

 

 

 

 

 

 

  본찰 마당. 종각이 보이고, 마당에는 수령 1000년의 느티나무가 절의 연륜을 말해주듯 서 있고 그 앞에 아무런 분청을 입히지 않은 소박한 대웅보전이 나를 맞는다.

 

                                                                                            

                                                                                                                                      내소사 대웅보전 꽃창살

 

 

 

 

 

 

 

 

 

 

 

 

 

 

 

 

 

 

                                   

 수령 1000년 된 느티나무                                            삼층석탑(고려시대에 만든 것이나 신라 탑의 양식)

 

 

                                              고려동종

 

 

 

  오른쪽에는 설선당(說堂). 선()은 침묵의 명상인 줄 알았는데 이를 말씀으로 펼친다? 그래서 그런지 설선당 요사채 방문에는 ‘묵언(默言)’이라는 경고문 아닌 경고문이 떡하니 붙어있다. 재밌는 것이 바로 그 설선당 맞은편에는 무설당(無說堂)이 있다는 것이다. 설선당에서는 묵언을 요구 했는데, 정작 말 없어야 할 무설당 앞에는 관람객들의 얘기소리가 왁자지껄 하다.

설선당 요사채 쪽으로는 아궁이와 부엌이 딸려있다. 절에 행사가 있을 때 많은 양의 팥죽과 밥을 만들어야 해서 그런지 가마솥 크기가 어마어마하게 크다. 절 마당을 향한 쪽에 있는 설선당에는 약간의 보시를 하면 차를 대접 받을 수 있다는 글귀가 적혀있고…….

 

<설선당> 스님과 신도들의 수행장소

 

 

 

 

 

 

 

 

 

 

 

 

 

 

 

 

 

                                                                                 

                                                                                

                                                                                                             설선당 아궁이와 가마솥, 장작 등이 있다.

 

 

 

 

 

 

 

 

 

 

 

 

 

 

 

 

 

 

설선당 아궁이

 

 

 

 

 

 

 

 

 

 

 

 

 

 

 

 

 

                                             

                   

                                                  아궁이불을 때서 이  가마솥에 음식을 만드나본데 문을 만들어 잠가 놓았다.

 

 

 

 

 

 

 

 

 

 

 

 

 

 

 

 

 

 

설선당 요사채 : 스님들이 거처하는 집

2층으로 1층은 승방과 식당으로 이용하고 2층은 각종 곡물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용함.

 

 

 

 

 

 

 

 

 

 

 

 

 

 

 

 

 

 

 

 

 

 

 

 

 

 

 

 

 

 

 

 

 

 

 

 

 

 

 

 

  해가 넘어가려 한다. 서울까지 갈 길은 멀다. 반계 유형원 선생 고택, 선사유적지, 강경․광천과 함께 젓갈로 유명한 곰소항, 부안읍내에 있는 당산까지 들러보고 싶지만 보물창고는 한꺼번에 여는 것보다는 즐기면서 야금야금 뒤져봐야 제 맛이 아니겠어? 아쉬움을 뒤로 하고 줄포I.C를 거쳐 서해안 고속도로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목청만 좋다면 시조가락 한 자락 ‘어허이~ 부안에는 변산이 있고, 변산에는 보물창고 같은 반도가 있었구나~. 얼쑤!’ 뽑고 싶지만, 난 조신한 요조숙녀 아닌 요조여사(?). 늘 그렇듯이 얌전히(요 대목에서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셋쯤 나오겠군) 상경길을 재촉했다.

 

 

Epilogue

 새만금 방조제를 따라 오면서도 봤지만, 희한하게 부안에는 군데군데 큼지막한 팔랑개비 구조물을 세워둔 곳이 많다. 친구는 이 얌전하기 그지없는 요조여사인 나에게 “이렇게 쏘다니는 걸 보니 네 엉덩이에도 저런 팔랑개비가 달린 것 같아.”한다. 이 무슨 세상 물정 모르는 말씀을 요로코롬 하신다냐……. 난 아무 것도 아니라니까. 내 주변에는 팔랑개비 아니라 터보 프로펠라에 제트 엔진까지 달고 다니는 사람들이 쌔고 쌨느니라~~.

 

 

 

 

 

     

부안에는 변산이 있고, 변산에는 보물창고 같은 반도(半島)가 있다.(1)    http://blog.daum.net/antique28/77

부안에는 변산이 있고, 변산에는 보물창고 같은 반도(半島)가 있다.(2)   http://blog.daum.net/antique28/78